학술논문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
이용수 265
- 영문명
-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신성철 김지아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4호, 7~2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재학중인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과 SPSS Macro를 통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그리고 우울과 사회적위축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과 사회적위축이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과 사회적위축이 이중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우울과 사회적위축을 경유하여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하여 스마트폰 과의존 행동을 감소하는데 있어 우울과 사회적위축을 감소시키면 스마트폰 과의존 행동 감소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들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Daegu and Gyeongbuk,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SP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s well as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Second,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rd,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ere found to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boys'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hrough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s greater than the direct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refore, in relation to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implications were mentioned that redu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behavior could be more effective by reducing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
-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Flash Technique의 집단 개입의 효과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온라인 여가활동 부정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