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56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이현경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6권 제2호, 147~1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성관계 만족의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75편을 중심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과 주제, 연구변인, 통계분석, 측정도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는 2007년을 제외하고 2006년부터 꾸준히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각 38편(50.7%), 36편(48%)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66편(88%), 혼합연구가 9편(12%)이었으며, 질적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연구주제는 변인 간 관계 연구가 63편(84%), 척도 타당화 연구가 5편(6.7%),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가 4편(5.3%), 집단 간 차이검증 연구가 3편(4%)이었다. 넷째, 연구변인별로 이성관계 만족이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59편(93.6%)으로 가장 많았으며,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섯째, 통계분석 방법 중 구조분석계열이 32편(42.7%), 회귀분석계열이 28편(37.3%)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여섯째, 측정도구로는 8개의 척도와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4개의 척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성관계 만족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향후 제언에 대하여 논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o provide a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75 studies from journals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from 2006 to 2023 by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topics, research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and research scales. Results: First, studies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steadily published from 2006 to 2023, except in 2007.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50.7%), and adults(48%0. Third, for the research methods, 66 quantitative studies(88%), 9mixed methods studies(12%) and no qualitative studies were published. Fourth, for the research variables, most of the studies use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93.6%) and none of the papers used it as an independent variable. Fifth, among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tructural analysis(42.7%) and regression analysis(37.3%) were widely used. Sixth, as research scales, 12 scales, including four scal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to measur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격유형과 상담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청소년 섭식장애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대학생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국내 자기체계 손상 연구 동향: 2009년~2023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관계 상실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노화불안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상담성과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2010~2023(4월)까지의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여성주의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2014년 – 2022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자기가치감 수반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2008~2023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