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ontingencies of Self-Worth: Focused on Domestic Research (2008-2023)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안정연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6권 제2호, 93~1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가치감 수반성에 관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가 진행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40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발행연도, 학술정보,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에 따른 통계분석, 측정 도구, 연구 변인별로 분석 및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가치감 수반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2008년도에 처음 게재되었으며, 2012년도부터 2023년도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학술정보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KCI 등재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4편 더 많았으며, 연구대상은 대학생이 25편(62.5%)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모두 양적연구로 이루어졌으며, 변인 간의 관계를 주제로 진행한 연구가 32편(80.0%)으로 가장 많았다. 그 중에서도 회귀분석이 21편(52.5%)으로 주로 연구되었다. 측정도구는 자기가치감 수반성 척도(The 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 (CSWS)를 이수란과 이동귀(2008)가 번안 및 타당화한 척도가 22편(55.0%)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자기가치감수반성 연구는 독립변인 17편(42.5%)으로 가장 많이 쓰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연구필요성과 추후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A total of 40 domestic journals and thesis pap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rom 2008 to 2023. The year of publication, academic information, subject of study,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s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measurement tools, and research variation were analyzed and
review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omestic research on Contingencies of Self-Worth was first published in 2008,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steadily from 2012 to 2023. When divided by academic information, KCI-registered academic journals had four more papers than thesis papers. As for the subject of the study, college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with 25(62.5%). All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and 32 (80.0%) were the most studied on the subj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mong them, regression analysis was mainly studied at 21(52.5%). As for the measurement tool, the 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CSWS) was adapted and validated by Su-ran Lee and Dong-gwi Lee(2008) with 22 (55.0%) being the most used. In addition, the study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17(42.5%).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future sugges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격유형과 상담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청소년 섭식장애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대학생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국내 자기체계 손상 연구 동향: 2009년~2023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관계 상실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노화불안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상담성과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2010~2023(4월)까지의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여성주의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2014년 – 2022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자기가치감 수반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2008~2023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