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131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Self-esteem of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ed on domestic studie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김태겸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6권 제2호, 32~48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학교 밖 청소년 자아존중감’을 검색하여 한국연구재단(KCI)에 등재된 학술지 논문 32편을 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변인, 측정도구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교 밖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논문은 2020년과 2022년에 가장 많이 발행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으로는 32편의 논문 중 19편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014, 2015, 2016, 2017)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총 32편의 논문 중 30편이 양적연구로 진행되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로 최인재 등(2012)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척도가 19편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다섯째, 변인별 동향은 개인적 변인과 관련된 논문이 17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향후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comprehensively identifying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the self-esteem of out-of-school adolescents. Methods: To achieve this, "out-of-school adolescents self esteem" was searched within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and came up with 32 academic studies were registered o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KCI). These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published year,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variables, and measurement t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papers related to out-of-school adolescents’ self-esteem in Korea were published the most in 2020 and 2022. Second, 19 of 32 papers were studied using data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13, 2014, 2015, 2016, and 2017. Third, out of 32 papers, 30 were conducted as quantitative studies. Fourth, as a tool to measure the self-esteem of out-of-school adolescents, the mental health promotion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y Choi In-jae et al. (2012) was used in 19 studies. Fifth, as for trends by variable, 17 papers related to personal variables were the most comm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main implic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of research related to out-of-school youth self-esteem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격유형과 상담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청소년 섭식장애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대학생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국내 자기체계 손상 연구 동향: 2009년~2023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관계 상실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노화불안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상담성과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2010~2023(4월)까지의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여성주의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2014년 – 2022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자기가치감 수반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2008~2023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