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on Peer Acceptance: Multiple Parallel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Closeness-Conflict Relationship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석승림 민하영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1호, 31~4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대구⋅경북 지역 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취학 전 5세 유아 22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의도적 통제(CBQ),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STRS), 또래수용성(CBS)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이용해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또래수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교사 친밀관계는 또래수용성에 정적 영향을, 유아-교사 갈등관계는 또래수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유아-교사 친밀관계에 정적 영향을, 유아-교사 갈등관계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은 유아-교사 친밀-갈등관계 통제 시 사라졌으며, 유아-교사 친밀-갈등 관계를 매개로 한 간접영향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아-교사 친밀-갈등관계를 이중병렬로 완전매개 하여 또래수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과정적 질이 유아의 또래수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peer acceptance from parallel mediating perspective. The subjects were 228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Questionnaires consisted of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Using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CBQ), teacher-child relationship us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TRS) and peer acceptance using the Child Behavior Scale (CBS) measured by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of SPSS 19.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er acceptance. Second, child-teacher closeness relation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peer acceptance and child-teacher conflict relationship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s peer acceptance. Thir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teacher closeness relationship and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teacher conflict relationship. Fourth,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d an indirect effect on peer acceptance by the full mediation of child-teacher closeness relationship and by the full mediation of child-teacher conflict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the child-teacher closeness conflict relationship is more important than the effortful control of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in peer accept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on teacher's response and interactions can help preschooler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 in order to increase peer acceptance.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승림,민하영. (2025).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32 (1), 31-45

MLA

석승림,민하영.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32.1(2025): 3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