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Knowledge of Effective Parenting Scale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도경 김연하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1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Winter 등(2012)이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양육방식을 부모들이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28문항으로 구성된 효과적 양육지식척도(Knowledge of Effective Parenting Scale)를 국내에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동학 전공 대학교수 2명과 전문번역가가 척도의 내용을 번역하고 육아전문가들의 내용 감수를 거쳤다. 이후 만 2세에서 10세 사이의 자녀를 둔 부모 35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을 실시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준거 및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2로 양호하였으며, 준거가 되는 영아발달지식척도와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효과적 양육지식척도는 양육유능감과는 정적 상관을 양육불안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관련 변인에 민감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문항분석을 통해 난이도와 변별도가 낮은 문항을 제거한 21문항 척도도 우수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주었다. 효과적 양육지식척도는 향후 양육지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현장과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Knowledge of Effective Parenting Scale (KEPS), a 28-item scale developed by Winter et al. (2012), designed to measure how much parents are aware of scientifically proven effective parenting practices. To achieve this, two university professors majoring in child studies and a professional translator translated the scale, followed by content review by parenting experts. Data were then collected from 358 parents with children aged 2 to 10, an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along with the verification of test-retest reliabil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EPS was found to be .82, which is considered satisfactory. The KEP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criterion, the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Scale. The KEPS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competenc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anxiety, indicating that it sensitively and appropriately responded to related variables. A shortened version of the KEPS that excluded items with low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indices also show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KEPS is expected to be useful in various fields and studies where objective measurement of parenting knowledge is needed in the future.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