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Maternal Empathetic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Empathy: The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박찬영 임정하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1호, 15~2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tern과 Cassidy(2018)의 공감의 개인차에 대한 애착 이론적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공감능력 간 관계에서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 300쌍이었다. 공감적 양육태도, 공감능력, 애착 및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자기보고식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t 검증, Cohen의 d,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아동의 타인정서조절능력과 공감능력에서 성차가 나타났으며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더 높았다. 둘째, 남아집단과 여아집단 모두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아집단에서는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이 각각 개별적으로도 매개하였고, 남아집단에서는 이들의 관계를 애착만 개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공감능력을 촉진하는 데 있어 성별을 고려한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aternal empathetic parenting attitudes influence children’s empathy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study was grounded in Stern and Cassidy’s (2018) attachment theoretical model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Participants included 300 pairs of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a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paper-bas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rough t-tests, Cohen's d,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and Model 6 of the PROCESS macro.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of others and empathy, with girls demonstrating higher levels than boys. Maternal empathetic parenting attitudes were found to influence girls' and boys' empathy throug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erial mediation process involving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For girls, both the indirect effects of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significant, while for boys, only the indirect effect of attachment reached significance.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targeted interventions to foster empathy in children,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gender-related factor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영,임정하. (2025).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2 (1), 15-29

MLA

박찬영,임정하.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2.1(2025): 1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