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ssociations Between Adolescents’ BMI, Body Image and Ego-Identity: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홍예지 박하연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1호, 59~7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 자아정체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나아가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4차 데이터에서 1,30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체질량지수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아상이 완전 매개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체질량지수와 신체적 자아상의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체질량지수가 신체적 자아상을 통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조절된 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adolescents’ body mass index (BMI), body image and ego-identity,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is association. To achieve these goals, a total of 1,301 adolescents from the 14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Preliminary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Furthermore,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examine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body image on the association between BMI and ego-identity was significant. Second, adolescents’ depre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f BMI on body image. Third, adolescents’ depre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f body image on ego-identit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association in which adolescents’ BMI affected ego-identity mediated by body imag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