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주의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2014년 – 2022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112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Feminist Counseling: Focused on Domestic Journals and Doctoral thesis from 2014 to 2022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유현서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제6권 제2호, 114~132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여성주의상담에 대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구를 대상으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51편을 발행연도, 학술정보, 연구대상, 연구자소속, 게재된 학술지, 연구방법, 측정도구 및 측정변인, 연구주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8가지의 분석 기준에 대한 자료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부터 연도별로 꾸준히 연구되어왔지만 그 수는 매우 저조하였고, 2016년과 2018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나타났다. 학술지가 학위논문보다 많았고, 연구대상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있었지만 대부분 여성이었다. 연구자소속은 학위논문을 제외한 국내 대학교가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재된 학술지는 학위논문을 제외하고 기독교 관련 학술지가 가장 많았다. 질적연구가 39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양적연구 7편, 혼합연구 1편, 문헌연구 4편으로 나타났다. 측정도구 및 측정변인은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을 측정하기 위한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FIC) 척도가 3편(12.5%)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된 변인 중 여성과 관련된 변인은 7개, 여성과 관련 되지 않은 변인은 11개를 차지하였다. 연구주제는 특정 주제 개관연구가 28편(54.9%)으로 가장 많았고, 상담과정연구, 진로 및 적성연구를 주제로 한 논문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에서 2014년부터 현재까지의 여성주의상담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여성주의상담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s in feminist counseling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Methods: : A total of 51 domestic journal research and doctoral theses from 2014 to 2022 were analyzed by year, academ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er affiliation, academic journals, research methods, research scales, variables, and research topics. To conduct data analysis on the eight analysis criteri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9.0 . Results: Since 2014, it has been studied steadily by year, but the number has been very low.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appeared in 2016 and 2018. There were more academic journals than academic papers, and there were studies on men, but most of them were women. It was found that domestic universities were the most among researchers, excluding academic papers. The most published academic journals were Christian-related journals, except for academic papers.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litative studies, and research scales and variables were most frequently used with 3(12.5%) Feminist Identity Composite(FIC) scales to measure feminist identiry composite. Among the measured variables, 7 variables related to women and 11 variables unrelated to women. As for the research topics, 28 studies (54.9%) on a specific topic overview research, and there were no studies on counseling process research, career and aptitude research.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feminist counseling from 2014 to the present in Korea were identified,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rther feminist counseling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격유형과 상담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청소년 섭식장애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대학생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국내 자기체계 손상 연구 동향: 2009년~2023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관계 상실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노화불안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상담성과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2010~2023(4월)까지의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여성주의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2014년 – 2022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자기가치감 수반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2008~2023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