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85
- 영문명
- Conceptions of Space in 1960s Minimalism & Developing an Installation Art Education Program to Rethink Space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전수연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299~31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미술사에서 ‘공간(space)’이란 개념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진 영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출현한 다양한 미술 경향 중에서 미니멀리즘 미술로 한정하여 미니멀리즘 양식에서 드러나는 공간의 다양한 해석을 분석하고자 한다. 미니멀리즘은 모더니즘의 순수한 공간을 경험적인 공간으로 대체하여 관람자의 신체를 통한 작품의 경험을 유도하였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국내 작가 박여주와 강은혜의 설치미술 작품 사례를 살펴본 후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의의는 1960년대 미국 작가들의 새로운 해석을 바탕으로 등장한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해석함으로써 미니멀리즘 미술이 미술사에서 ‘공간’의 개념 재정립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영문 초록
In the history of modern art, the concept of 'space' has been emphasized and treated as a very important element. Among the various artistic trends that emerged in the 1960s, this research focuses on minimalism, analyzing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space in minimalism. Minimalism replaced the pure space of mod-ernism with an experiential space, inviting the viewer to experience the artwork through their bodies. Furthermore,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stallation art works of two Korean artists, Park Yeojoo and Kang Eunhye, and proposes an installation art education program for spatial reawake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interpret the changing perception of 'space' in American art in the 1960s, and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minimalism to the redefinition of the concept of 'space' in art history.
목차
I. 서론
Ⅱ. 미니멀리즘에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
Ⅲ. 공간 재인식을 위한 국내 설치미술 작품 사례 및 프로그램 개발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