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이용수 20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uture Art Education: An Aesthetic Experience in Art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류지영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을 대면하는 인간의 미적 감성 및 실천으로서 ‘미적 체험’을 미술교육 영역으로서 탐색한다.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특히 국가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 영역 및 그 변천을 중심으로 교육적 의미와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는 예술을 대상, 사건, 사물 등으로서가 아니라 실천 또는 행위로 간주하는 것으로서, 미술교육에서 예술의 미적 미학적 의의와 인간적 및 교육적 관점이 더욱 분명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오늘날 예술은 사회, 정치, 경제 등의 다른 학문과 차별화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진 문화로서 인간 정신의 본연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 지평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예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다양한 미적 행위, 특히 시각예술로서 미술을 일종의 인간의 실천적 형식 및 행위로 다루면서 특히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예술에 대한 인간의 교육 활동으로서 미술교육에서 ‘미적’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본다. 미적 체험은 주체와 대상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소통하는 실천으로서, 대상의 미적 성격을 수용하는 수동적 과정이 아니라 능동적인 실천이다. 그리하여 미적 체험은 삶과 연계되면서도 동시에 일상적인 인간의 실천과 차별화된 것으로서 미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역사와 사회, 세계와 나 자신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힘을 지니는 것이기도 하다. 이 힘은 다시 일상으로 환원되며 우리의 삶에 변화를 이끌어낸다. 미적 체험을 통해 미술교육은 미적 상황에 대한 실천적 형식을 발견하며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ursue art educational meaning and direction of future by understanding aesthetic experience in the aesthetic practice of human beings who encounter art. I regard art as a prac-tice or act rather than a specific object, incident or thing. I hope to further clarify its aesthetic significance and its perspective on the educational aspect. Today, art is a culture that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society, politics, and economics, and it serves to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human spirit. Examine human aesthetic practice based on experience with art, and examine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aesthetic' as an educational ac-tivity of human beings surrounding art, treating art as a kind of human practical form as visual art. Aesthetic experience is the practice in which the object and the subjec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gorously, and the practice is not a passive process of accepting the aesthetic attributes of the object, but a concrete practice. Aesthetic experience is differentiated from everyday human practice and has the power to re-flectively reflect on history and society, the world and myself. Through such aesthetic experiences, practical forms of aesthetic situations can be discovered and educational outcomes that are meaningful to human beings can be derived.
목차
I. 서론
Ⅱ. 미적 체험: 이론적 배경
Ⅲ.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Ⅳ. 미술교육에서 미적 체험의 의의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