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이용수 18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sing EduTech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혜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207~2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경 없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디지털 시민으로서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 태도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학생들의 시민 의식에 대한 변화상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디지털 매체는 Google site 도구, Padlet 온라인 게시판, Spatial 메타버스, MetaQuest2 VR이다. 이에 초등학교 3학년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교육적인 의의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공감각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시각적 감각의 이해와 향상이다. 또한 미술을 통한 공감으로 더 나은 참여가 가능해졌다. 둘째,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및 실천 의지 향상 측면에서 참여와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 능력의 향상이 있었다. 국제적으로 다양한 문제들에 관심과 실천 의지의 형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교육적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from the perspective that students living in a digital era without borders need an attitude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ocial issues as digital citizens. Therefore, it aims to explore the changes in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 throug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sing Edutech. The digital media used in this study are Google Site Tools, Padlet Online Bulletin Board, Spatial Metaverse, and MetaQuest2 VR. Accordingl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tudent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case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visual senses in terms of synesthetic interaction. In addition, better participation became possible through empathy through art. Second, in terms of improving self-directed problem-solving ability and willingness to practice, there was an improvement in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cision-making ability through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Significant educational significance was found in that interest and willingness to practice were formed in various international issu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수업 사례
Ⅳ.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사례의 시사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