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이용수 341
- 영문명
- Understanding AI Image Generator and Exploring Educational Possibilities in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장윤경 윤인화 박지원 제갈유진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277~2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활용이 예술 창작 영역까지 확장되는 이 시기에 미술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미술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이미지 생성 AI를 분석하였다. 또한 활용 사례를 토대로 미술교육에서의 이미지 생성 AI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급격히 발전 중인 인공지능 기술은 시각예술가의 예술관을 표현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특히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AI는 미술교육 측면에서 교사와 학생을 돕는 조력자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미지 생성 AI를 활용한 중학교 1학년 미술 수업 사례를 통해 이미지 생성 AI가 학습자의 미술 수업 몰입도 증진, 상상력 영감과 표현의 확장,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의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미술 수업에서 교수학습 도구로 이미지 생성 AI의 활용 방안과 긍정적인 측면 및 유의점을 도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t a time when the use of AI is expanding to the area of art cre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image generation AI that can be used in school art edu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lass activities, the possibility of using image generation AI in art education was explor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is rapidly developing, is being used as a tool to express visual artists' views on art, and in particular, text-based im-age creation AI has been able to discover its potential as a facilitator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art classroom. Through the case of first-year middle school art classes using image-generating AI, this study shows that image-generating AI can help increase learners' immersion in art classes, and expand imagi-nation and ex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rived ways to use image-generating AI as a teaching and learning tool in art classes, as well as positive aspects and points to keep in mind.
목차
I. 들어가며
Ⅱ. 인공지능(AI)이 불러온 변화들: 미술교육 현장과 이미지 창작 분야
Ⅲ. 이미지 생성 AI를 활용한 표현활동 사례
Ⅳ. 이미지 생성 AI 도구 활용을 위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