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이용수 223
- 영문명
- Exploring Identity Competency in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연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227~25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체성은 탈지역화, 다문화화, 다원화로 변화를 거듭하는 동시대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는 주요 이슈이다. 동시대 미술 또한 동시대에 발생하는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을 직시하며 이미지를 통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왔는데, 그 출발은 인간에 대한 존중이었으며 이는 어김없이 정체성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하고 있다. 미술의 이러한 변화를 목도하며 21세기 교육적 변환기를 맞아 학교미술교육에서도 자기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시작점으로 정체성에 주목해왔다. 그러나 정체성은 변화하고 구성되는 개념으로, 교육에서 역량으로 변환되기까지 다양한 전환점을 맞아왔다.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비전으로 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정신을 반영하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주도성’이 강조되었으며, 자아 정체성, 자율성, 자기 계발, 자기 성찰, 자기 탐구, 자기 이해, 자기 주도성, 주체성 이해를 하위 역량으로 하는 정체성 역량으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정체성 역량에 대한 이해의 근거로서 동시대 미술에서의 정체성 이슈를 근거로 정체성의 의미와 교육에서의 정체성 관련 논의를 고찰하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정체성 역량의 의미를 살펴서 교육 현장의 이해와 적용을 돕는 데 중점을 두었다.
영문 초록
Identity was the most actively discussed issue in current society, which was characterized by delocaliza-tion, multiculturalization, and pluralization. Contemporary art has also faced various problems surrounding humans occurring in the same era and provided clues through images to solve them. The starting point was respect for humans, and it always started with a discussion about identity. While witnessing these changes in art, school art education has focused on identity as a starting point for leading an individual's life in the 21st century educational transition. However, identity was a concept that changes and is con-structed, and has gone through various transformations before being converted into an educational competency. Reflecting the overall spirit of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vision of ‘leading talent with inclusiveness and creativity,’ ‘initiativeness’ was also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which reflected self-identity. autonomy, self-development, self-reflection, 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self-orientation, and subjectivity understanding were proposed as iden-tity competencies with sub-competencie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identity in education and various discussions related to identity based on the identity issue of contemporary art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competency of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This study focused on explaining its meaning in detail and helping people understand and apply it in their educational settings.
목차
I. 서론
Ⅱ. 정체성 관련 논의들
Ⅲ.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정체성 역량 논의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