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이용수 113
- 영문명
- Exploring aesthetic experience-based education with OECD Education2030’s future-oriented education plan of transformative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설연경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139~1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cy)’교육은 지구촌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개인과 사회의 행복’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윤리적 가치를 중요시하며 학습자의 주체성과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이는 기존의 역량교육과 달리 ‘인본주의’적인 관점과 ‘구성주의’적인 교육관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겠다. 이에 본고에서는 변혁적 역량교육의 교육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적경험기반 교육은 예술 활동, 그 자체가 주는 도덕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게 하며, 인지적으로는 구성주의적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예술작품 속에 녹아져 있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해석하고 정서를 공감하며 나아가 창의적 활동까지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미적경험 활동은 변혁적 역량이 추구하는 맥락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ransformative competency’ education reflect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global village and aims at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society.’ Accordingly, ethical values are important and the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learner's identity and results. Unlike existing competency educ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a ‘humanistic’ perspective and a ‘constructivist’ view of education.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aesthetic experience-based edu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ransformative competency education. Aesthetic experience-based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the moral experience that art activity itself provides, and provides a cognitively constructivist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become subjects, interpre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con-tained in works of art, and develop emotional and emotional knowledge. It empathizes and even enables creative activities.
목차
I. 서론
Ⅱ.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교육의 특징
Ⅲ. OECD 2030의 변혁적 역량교육 및 미적경험기반 교육의 특징
Ⅳ. 변혁적 역량교육에서 미래지향적 교육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