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이용수 132
- 영문명
- Meanings of Questioning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A National Art Curriculum Content Analysis Stud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진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서 감상 영역의 ‘질문’ 관련 내용의 변천을 살펴보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감상 영역과 관련하여 새롭게 등장한 질문 관련 내용의 의의를 검토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학교 미술 감상 수업에서 ‘질문’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고 내용 분석을 통해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질문’의 의미를 이전 교육과정의 내용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 활동에서의 학생들의 반응은 수용적 감상에서 주체적인 감상으로 변화하였으므로 이를 촉구하는 교사의 발문이 수업 상황에서 제안될 수 있다. 둘째,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해’ 개념은 감상 수업에서 ‘핵심 질문’을 도입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셋째, 감상 영역과 관련한 ‘탐구’는 학생의 자발적인 궁금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나 개념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발문은 학생이 작품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섯째,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 작품의 학생들의 새로운 질문을 야기하는 촉매제로서의 역할을 가정하며 감상 과정에서 학생들이 생성하는 다양한 유형의 질문이 수업을 더 풍부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content related to ‘questioning’ with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level art curriculum. It also assesses the significance of recently introduced question-related contents within the domain of art appreciation.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lves into the nuances and implications of ‘questioning’ in school art appreciation classes. Furthermore,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anings of ‘questioning’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with those of the previous curricular. Consequently, this study reveals several key findings. First, teach-ers are encouraged to incorporate questioning strategies given the transformation of students’ emotional responses to a work of art from passive to active appreciation. Second,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within the 2022 curriculum provides the basis for introducing ‘essential questions’ in art appreciation classes. Third, the notion of ‘inquiry’ may be linked to students’ authentic curiosity, yet it necessitates fur-ther scholarly discourse to clarify its meaning. Fourth, teacher-initiated questions can help students ‘explain’ a work of art. Fifth, the 2022 curriculum assumes that a work of art serves catalysts for inspiring students’ new inquiries with the expectation that a diverse range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during art apprecia-tion classes will enhance their learning experience.
목차
I. 서론
Ⅱ. 미술 감상 교육에서 ‘질문’의 의미
Ⅲ.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에서 ‘질문’의 의미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