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82
- 영문명
- A Case Study on Personalized Art Education for Learn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희 김선아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111~1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의 다양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 학습자의 다양성 존중 측면에서 발달장애 학습자의 특성, 수준, 요구, 적성 등을 반영한 맞춤형 미술교육의 사례를 통해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를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끄는 주체이자 정보원으로 중심에 두어 학습자 이해,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 학습자 주도적 수업 실행, 과정 중심 평가, 학습 성과 소통 및 반영의 순환적 과정을 적용한 본 연구의 사례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학습자는 장애 유형과 특성은 물론 개인의 다양성이 크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우선시하는 맞춤형 미술교육은 적절한 교육방법론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이해를 통해 개인에게 초점을 맞춘 미술교육은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언어를 가진 발달장애 학습자가 표현하는 세계를 존중함으로써 의미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셋째, 맞춤형 미술교육의 다양한 과정 중심 평가 방법을 통해 발달장애 학습자가 소외되거나 배제되지 않는 유의미한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 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은 교사 개인만의 고민과 노력이 아닌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며, 앞으로 학습자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는 미술교육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함께 맞춤형 미술교육을 구체화할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ersonalized learning is increasingly in demand to meet the diversity of learners in education fiel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analyze personalized art education plans for learn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cases that respects their diversity in terms of characteristics, levels, needs, and aptitude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case of this study, which applied a cyclical process of learner understanding,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learner-led lesson im-plementation, process-centered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of learning outcomes, cen-tering learners as the subject who lead the lesson and as a source of information. First, personalized art education, which prioritizes understanding of learners, can be useful for disabled learners with a wide range of individual diversity as well as disability types and characteristics. Second, art education can en-able meaningful learning by respecting the world they express with their own unique visual language. Third, various and continuous process-centered assessment methods can prevent disabled learners from receiv-ing unreasonable grades. Personalized art education for disabled learners requires a system and support to design and utilize level-based and overall curriculum, beyond the concerns and efforts of individual teacher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methodology of art education that respects the diversity of learners and ways to materialize personalized art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의 실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