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83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Minimum Achievement Level in Art Subjects: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송명길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8집, 157~16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0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최소 성취수준에 대해 고찰하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논해지는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소 성취수준이라는 용어가 상용된 고교학점제에서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최소 성취수준과 비슷하게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언급한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에서의 기초학력 보장 지도에서 관련 의미를 살펴보고, 2022 개정 교육과정 10개 교과에서 언급된 최소 성취수준의 용어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국어과와 미술과만이 공통 교육과정에서도 최소 성취수준을 언급하고 있었으며, 미술과의 최소 성취수준은 학습격차 해결, 안내, 개별진단, 맞춤형 관리, 적절한 교수학습, 온오프라인 보충학습의 키워드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이는 단지 고교학점제가 언급하는 이수 기준을 넘어 보편적인 학습의 모두를 위한 포용성을 보여준다고 파악되었다. 미술과 역시 성취도를 논해야 하는 교과목이 분명하기에 최소 성취수준의 개념을 통하여 미술에서의 학습에 관한 논의가 더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현장에서의 의미 있는 적용을 위하여 최소 성취수준과 관련된 기준이나 예시자료가 널리 보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discussed in the art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comprehensive plan to guarantee basic educ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terms of the minimum level of achieve-ment mentioned in the 10 subject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searched. As a result, only the Korean language and art mentioned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in the common curriculum.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of the art department could be summarized into keywords such as solving the learning gap, guidance, individual diagnosis, customized managemen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and online and offline supplementary learning.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in the art curriculum shows inclusivity for all of universal learning beyond the completion standards mentioned b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ince the art department is also a subject that should discuss achievement, the discussion on learning in art should be expanded further through the concept of the minimum level of achievement. In addition, standards or example data related to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should be widely distributed for meaningful application in the field.
목차
I. 서론
Ⅱ. 최소 성취수준과 최소한의 성취기준
Ⅲ.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최소 성취수준
Ⅳ.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상사진 전시회에서 전시된 모델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 내 비교과 프로그램 분석 연구: 서울・경기권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장욱진의 먹그림에 나타난 불교적,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공간 개념과 공간 재인식을 위한 설치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이해와 미술교육의 활용 가능성 탐구
- 인류 보편 언어로서의 미술에 대한 고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정체성 역량 고찰
- 디지털 전환시대 에듀테크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미술교육 중심으로
- 우호적 접촉 강화와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 국내외 미술치료 윤리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
- 미술과에서 최소 성취수준의 의미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 발달장애 학습자 대상 맞춤형 미술교육 사례 연구
-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적 체험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수업의 실행과 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비판적 인식 및 창의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술과 감상 영역 ‘질문’의 의미 변천: 2022 개정 및 이전 교육과정 내용 분석 연구
- 미술교육에서 수준에 따른 재료와 기법, 지도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