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9
- 영문명
- The effects of children’s empathy and theory of mind on musical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정재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179~1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그리고 음악적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총 284명으로 평균월령은 55.7개월이었다. 연구자료는 ‘공감능력 검사도구’, ‘마음이론 검사도구’, 그리고 ‘음악적성검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들이 일대일로 연구대상 유아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행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공감능력, 마음이론, 음악적 능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이론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이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 별로 분석한 결과 마음이론의 하위요인인 이차틀린믿음이 음악적 능력에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감능력의 행복과 분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사회정서적 관점에서의 이해와 더불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theory of mind, and musical ability in young children and to analyze the effect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A total of 284 children aged 3 to 5 were studied, with an average age of 55.7 month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empathy ability test tool’, ‘theory of mind test tool’, and ‘music aptitude test’. The researcher and research assistants conducted a one-on-one test on children in the study.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ere verifi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pathy, theory of mind, and musical ability. In addition, theory of mind appeare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variable affecting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followed by empathy ability as an additional predictor variable affecting musical ability. Furthermore,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sub-factor, second false belief, a sub-factor of theory of mind, appeare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of musical ability. This was followed by happiness and anger which were sub-factors of empathy as additional predictor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or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children's musical abilities from a social-emotional view.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