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2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igital media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a focus on metaphor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윤소영 이상선 임민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129~15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은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및 경북지역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및 아동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31일부터 4월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은유분석을 통해 범주화 및 수량화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위 내용 유형은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필요성 인식,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있어 교사 역할, 디지털 미디어 지도의 방향성으로 분류하였으며, 하위 내용유형은 필요, 중립, 불필요, 방향안내, 역량 증진, 문제 예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예비교사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필요성,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동시에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디지털 미디어 지도 관련 교육 내용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digital media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nducted a metaphor analys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1 to April 21, 2023, from 159 student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hood studies departments at three- and four-year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quantified through metaphor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top content types were categorized as recognizing the need for digital media guidance, teacher’s role in digital media guidance, and the direction of digital media guidance, and the bottom content types were derived as necessary, neutral, unnecessary, direction, capacity building, and problem prevention. Seco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digital media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they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its negativ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organizing the content of digital media guidance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