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이용수 153
- 영문명
- Analysis of subject operation statu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신예나 김지연 최별녀 양유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3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 시행 이후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유아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30개 대학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개설시기는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유아교육과정의 수업목표는 주로 ‘지식’을 기억하고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지식의 ‘적용’과 ‘평가’와 ‘분석’에도 높은 비중을 가지고 수업 목표를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종합’의 수업목표는 불분명하게 계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수업내용은 유아교육과정의 기초 영역이 유아교육과정의 실행영역보다 좀 더 높은 비중으로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과정의 수업방법에 대한 결과는 전체 수업 방법 중 이론식 강의가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의토론이나 시험 및 참관 등의 수업 방법들이 다양하게 시행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전통적인 교수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과정 수업의 평가 방법을 살펴보면 ‘출석’과 ‘중간고사’, ‘기말고사’와 ‘과제’를 중점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에서 다루어져야 할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whethe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ains appropriat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operating in the field to understand the current operation situation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varied across schools. Second, the objective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mainly focused on 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knowledge’, while the objectives of ‘integration’ were ambiguously planned. In addition, in terms of teaching contents, the basic area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planned in a higher proportion than the implementation areas, and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theoretical lectures were mainly used among all teaching methods. ‘Attendance’, ‘midterm exams’, ‘final exams’, and ‘assignments’ were used as assessment metho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