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이용수 113

영문명
Analysis of subject operation statu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저자명
신예나 김지연 최별녀 양유진
간행물 정보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3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 시행 이후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유아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30개 대학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개설시기는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유아교육과정의 수업목표는 주로 ‘지식’을 기억하고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지식의 ‘적용’과 ‘평가’와 ‘분석’에도 높은 비중을 가지고 수업 목표를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종합’의 수업목표는 불분명하게 계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의 수업내용은 유아교육과정의 기초 영역이 유아교육과정의 실행영역보다 좀 더 높은 비중으로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과정의 수업방법에 대한 결과는 전체 수업 방법 중 이론식 강의가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의토론이나 시험 및 참관 등의 수업 방법들이 다양하게 시행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전통적인 교수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과정 수업의 평가 방법을 살펴보면 ‘출석’과 ‘중간고사’, ‘기말고사’와 ‘과제’를 중점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에서 다루어져야 할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whethe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ains appropriat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operating in the field to understand the current operation situation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varied across schools. Second, the objective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mainly focused on 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knowledge’, while the objectives of ‘integration’ were ambiguously planned. In addition, in terms of teaching contents, the basic area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planned in a higher proportion than the implementation areas, and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theoretical lectures were mainly used among all teaching methods. ‘Attendance’, ‘midterm exams’, ‘final exams’, and ‘assignments’ were used as assessment metho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예나,김지연,최별녀,양유진. (2023).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22 (3), 31-56

MLA

신예나,김지연,최별녀,양유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22.3(2023): 3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