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5
- 영문명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fulnes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정민 오재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의 중요성과 나아가 유아들에게 가치있는 놀이와 협동적인 놀이경험을 제공하고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42개소의 만 3,4,5세 유아담임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은 유아의 놀이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하위요인별로는 교수창의성의 인지적요인, 놀이지원역량의 놀이지원지식, 놀이지원평가, 놀이지원계획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은 놀이지원역량, 사회적자발성은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지원역량, 인지적자발성은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노력과 놀이환경 구성 및 지속적인 개선 및 변화 그리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valuable play and cooperative play experiences for infants and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apabilities,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are variables that affect infants’ play expression.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1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aged 3, 4, and 5 at 42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who gave their cons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apabilities,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related to infants’ playability. The cognitive factors of teaching creativity, play support knowledge of play support capabilities, play support evaluation, and play support planning were found to have a lot of influence on infants’ play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ren’s playfulness, physical spontanei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play support competence, social spontaneity 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and cognitive spontaneity on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which affect children’s playfulness in the field of children’s education, and various studies that can be used in the configuration of play environment, continuous improvement and change, and children’s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