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3
- 영문명
-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on behavioral inten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신금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111~12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0일까지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는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variables that affect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27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on past behavioral frequenc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uture time perspective, climate change knowledge, and climate change response behavioral inten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uture time perspective, climate change knowledg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ere above the medium level.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t behavioral frequenc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affect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the past behavioral frequenc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