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이용수 156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play guidanc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extbooks published since 2019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주혜 김낙흥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151~1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중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이 적용된 교재를 분석하여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재 16권을 대상으로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교재의 내용을 분류하고 내용별 구성 비율을 알아보았다. 각 교재는 다양한 체계와 형식으로 놀이사례가 기술되어 있었고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기조에 근거하여 놀이지원 방법과 교사의 역할을 서술하였으며, 자유선택활동 관련 내용의 비중은 교육과정 개정 전의 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주제별 내용 구성비율은 ‘놀이지원의 실제’, ‘놀이지원 및 교사역할’, ‘놀이발달’, ‘놀이에 대한 이해’, ‘놀이와 교육’ 순이었다. 이를 토대로 ‘놀이지도’ 교재의 집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by analyzing the textbooks to which the 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applied among the ‘play guidance’ textbook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A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was conducted on 16 textbooks published from 2019 to 2021, and the contents of each textbook were classified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content was investigated. Each textbook described play support and the role of teachers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and play-centered keynote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ach textbook described play cases in various systems and format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content related to free play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extbooks before the curriculum revision. The content composition ratio by theme was in the order of “practice of play support,” “play support and teacher role,” “play development,” “understanding play,” and “play and education.”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writing ‘play guidance’ textbooks was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