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용수 19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방세현 서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57~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유아의 학급담임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 211명과 유아 211명이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 친사회적행동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effect of teacher’s empathetic capacity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and the effect of teacher’s empathetic ability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 sample comprises of 211 teachers and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5 enrolled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region G. For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mpathetic abi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 would suggest cutting this from the sentence. The meaning is a little unclear, and does not seem essential he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