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이용수 80
- 영문명
-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백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3호, 199~2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세종시․대전시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공감, 자아탄력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및 왜도, 첨도를 확인하여 분포의 경향성과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은 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에서 model4를 이용하였고, Bootstrapping의 방법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뿐 아니라 공감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regarding teacher-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empathy, and ego-resilience of infant teacher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326 incumbent infant teachers in Chungcheongnam-do, Sejong, and Daejeon.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omputed. Also, the tendency and normality of distribution were review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model 4 in the PROCESS macro SPSS version 4.1.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mpathy and ego-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impact of the teacher-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t is meaningful to help infant teacher improve their empathy and ego-resilience as well as teacher-efficacy for increasing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유아의 공감능력과 마음이론이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놀이지도’ 교재 분석: 2019년 이후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은유 분석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공감능력을 매개로-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 친사회적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교육과정’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