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노멀 교육' 관련 연구주제 동향 분석

이용수 56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o ‘New Normal Education’ :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민채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1호, 95~11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뉴노멀 교육‘ 관련 연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뉴노멀 교육‘이 학계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고 그 한계점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뉴노멀 교육‘ 관련해 어떠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전망하였다. 연구방법: ’뉴노멀 교육‘ 관련 총 93편의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에서 제시한 주제어를 취합한 후 텍스톰을 활용해 키워드 정제, 빈도분석 및 공출현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심성 분석, 군집분석은 Ucinet 6.758을 활용하였으며, 넷드로우로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뉴노멀 교육’ 관련 연구는 2018년에 최초로 이루어지기 시작해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2020년~2021년에 급격한 양적 증가를 보였다. 둘째, ‘뉴노멀 교육’ 관련 연구의 논의들은 ‘비대면 수업’, ‘온라인 수업’, ‘원격 수업’ 등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특히 교육의 주체, 내적 요인 등에 대한 논의 보다는 기술 기반의 교수학습 방법, 외부적 요인들에 논의가 집중되었다. 생태교육, 환경교육, 기후변화, 공동체 교육 등과 관련한 주제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뉴노멀 교육’ 담론은 현재의 협소적 관점에서 벗어나 더욱 광의적 관점으로 나아가야 하며 교육 가치에 대한 재사유, 보다 본질적 차원의 논의로 전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체제의 생태적 전환, 학습 복지, 돌봄 등에 관한 논의가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 topics related to “new normal education.” Through this analysis, we aim to understand how “new normal education” is perceived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identify its limitations, and anticipate the future discussions that need to take place about “new normal education. Method: The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93 academic papers and theses related to ”new normal education,“ and data cleaning, frequency analysis, and co-occurre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extom. Centrality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Ucinet 6.758,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using NetDraw. Results: First, research on “new normal education” began in 2018 and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until 2022, with a rapid increase in quantity in 2020-2021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Second, discussions in research on “new normal education” have focused on topics such as “online classes,” “remote classes,” and “non-face-to-face classes.” Rather than discussing the subjects and internal factors of education, the discussions have focused more on technolog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xternal factors. Topics related to ec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climate change, and community education have been hardly mentioned. Conclusion: The discourse on “new normal education” needs to move beyond its current narrow perspective and develop a broader view that includes a reexamination of educational values and more essential discussions. Specifically, there is a need to exp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scussions o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learning welfare, childcare, et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채. (2023).'뉴노멀 교육' 관련 연구주제 동향 분석. 교육혁신연구, 33 (1), 95-119

MLA

김민채. "'뉴노멀 교육' 관련 연구주제 동향 분석." 교육혁신연구, 33.1(2023): 95-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