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4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executive function of young children age between 3-5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황윤세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33~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235명, 교사 69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에 대한 측정도구를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자료는 교사의 측정에 의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유아의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세와 4세 유아의 실행기능에는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그리고 교사의 자율성지지,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그리고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유아 실행기능에서는 남아에는 어머니의 자율성지지가 여아에게는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전체에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그리고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순으로 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실행기능 발달에서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모두 중요한 변인이나, 그 연령의 증가에 따라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강조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to target 235 mothers and 6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for children between age 3-5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s on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mong the mothers and teachers. And data on executive function were measured using BRIEF-P by teachers completing the questionnaires.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were positive factors in predicting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addition, on the child's execution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the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greater influence on the boys, whereas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 held a bigger impact on the girls. Furthermore, the entire group of children had an increased effect in the order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mother’s autonomy supp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both mother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u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eacher’s autonomy support as the age of children increa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 초등학교 입학 관련 그림책의 내용분석: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5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른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차이 분석: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