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이용수 102
- 영문명
-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neighbors’ support, mother’s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서현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252~274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웃의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가구 중 1450가구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웃의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가족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가족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둘째,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개별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웃의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 상호작용을 매개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웃의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부분매개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의 지지 모형은 중요하지만 간과되고 있는 이웃의 지지와 유아의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경로를
탐색하여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지원체계를 다각화하고 유아의 발달에 대한 논의를 총체적 차원에서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