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이용수 356
- 영문명
-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experiences, and need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은혜 이세화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36~168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경험 및 요구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10명과 개별 또는 집단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녹음 및 녹화 후 전사하여 질적 연구의 분석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다음 세대가 지구에서 아름다운 환경을 누리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으로 반드시 필요하나 본인들의 앎이 얕은 수준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기본생활습관을 지도하며, 자연 속에서 놀이하는 시간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전달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단위 활동을 통해,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경험하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유아교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며 교사의 인식과 이해 부족, 개정 누리과정과의 연결에 대한 혼란, 학부모의 부정적인 인식과 사회적인 지원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유아교사는 체계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과 교수 자료, 실질적인 내용의 교사 교육, 사회 전반적인 인식 전환 노력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적인 실행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nd their experiences and needs of ES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vidually or as a group.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The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ESD was necessary for the next generation to dwell in beautiful environment and live happily on the earth, however that their knowledge was at a shallow level. Secondl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racticing ESD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y teaching basic habits in daily life, through play time in the nature, unit activities conveying and learning various knowledge, and activities connected with home and local communities. Thirdly, while practicing ESD,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difficulties from teachers’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confusion in affiliating with the revised Nuri Curriculum, parents' negative perception and lack of social support. Accordingl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emanding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for ESD, teaching materials, teacher education with practical contents, and efforts and support to change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society.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the found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SD and the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