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이용수 95
- 영문명
- A Study on the writing education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경철 이민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08~135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가 유아에게 쓰기를 교육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연구자이자, 10년 내외의 교육경력을 가진 유치원 교사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자와 교사 간의 개인면담 및 집단심층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을 분석한 결과, 총 세 가지의 의미와 가치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는 ‘관찰의 과정’에 기반한 참여 및 지원을 통하여 유아의 쓰기 세계에 합류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는 ‘융합의 과정’을 통해 놀이와 활동을 함께 교육하고, 과정과 결과를 함께 평가하며, 유아를 온전히 이해하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교사는 유아와 학급 간, 평가결과 활용과 교육계획 수립 간 ‘환류의 과정’을 통해 유아의 쓰기가 성장하고 변화하는 모습을 반영해나갔다. ‘관찰’과 ‘융합’, ‘환류’의 과정으로 구성된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는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유아로부터, 유아에 의한, 유아를 위한 과정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of teacher experiences based on the cases studies by teacher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assessment writing for young children. To this end, four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also researchers at the graduate school and have about ten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were conducted between the researcher and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riting education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ee main meanings and values were explored. Firstly, teachers were able to join the writing world of young children through participation and support based on the ‘Process of Observation’. Secondly, the teachers concurrently educated play and activities, assessed the process and results together, and brought synergy effects to fully underst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gence’. Thirdly, teachers reflected the growth and change of young children's writing through the ‘Process of Reflux’ between young child and classes, between the utilization of assessment results an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lans.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research suggests the writing education and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consists of the process of ‘Observation’, ‘Convergence’, and ‘Reflux’, should lead in the direction of making a curriculum and valuing a process from, by, and for the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