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이용수 127
- 영문명
- A exploration on a small kindergarten model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성희 박신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298~326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남지역의 실정을 반영한 작은 유치원 모형(안)을 개발함으로써 소규모 유치원의 교육력 및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교육청 소속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소규모 유치원의 운영 관련 어려움과 소규모 유치원 재구조화에 대한 의견, 공동교육과정 운영 지원의 필요성 및 시스템 보완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자체와 교육청이 함께 협력하여 유아의 교육과 돌봄을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함께 계획을 세우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기적 관점에서 충남지역 소규모 유치원의 질 제고 측면에서 통합유치원을 위한 요건을 제안한 소규모 유치원 통합형 ‘작은 유치원’ 모형과 소규모 유치원 지원을 위한 ‘작은 유치원’ 공동교육과정 클러스터 모형, 장기적 관점에서 ‘작은 유치원’과 기관 연계 모형으로 유아교육 및 보육 기관 연계 모형, 유치원-지역돌봄 기관 연계 모형, 유아-초등-중등 통합운영학교 모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ll kindergarten model that reflects the realities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to seek specific and comprehensiv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quality of small kindergartens. To this end,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indergarten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to investigate difficul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mall kindergartens, opinions on restructuring small kindergartens, the need for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a joint curriculum, and demands for system supplement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 offices are required to plan and engage in together so that they can operate the education and care of young children in the most effective way. Based on this, requirements for integrated kindergartens in terms of the quality of small kindergartens in Chungcheongnam-do, and a joint curriculum cluster model for supporting small kindergartens were proposed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And an institutional linkage model for future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stitutions, a kindergarten-local care agency linkage model, and an integrated operation school model for kindergartens-elementary-secondary schools were presen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충남지역 ‘작은 유치원’ 모형 개발을 위한 요구
Ⅳ.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Ⅴ. 충남지역 ‘작은 유치원’ 모형 지원을 위한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