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이용수 103
- 영문명
- Investigation on needs for development of digital tool for observation record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혜전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72~107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기관 현장을 관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록 툴 개발의 기초 연구로서 사용자 요구를 조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대학 교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요구는 사용자들의 기록 행위 차원과 자료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기록 측면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디지털 관찰 기록 툴이 기록의 편리성과 표상방식의 다양성, 기록과정에서의 학습가능성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했고, 자료 측면에서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구축된 자료에 편리하게 접근하고, 접근한 자료를 유의미하게 활용하며, 다수의 자료를 함께 공유함으로써 관찰기록의 실효성을 증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현장 관찰 기회 증진과 디지털 관찰 기록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s needs on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recording too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tilize when observing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iversity profess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 specific need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users' recording behavior level and data level. In terms of recor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attested that a digital observation record tool should be equipped with convenience of recording, diversity of representational methods, and possibility of learning in the recording process. In addition, a process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observation records was necessary to meaningfully utilize the accessed data and to share a large number of data together.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field observation opportun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eveloping an application for recording digital observations were rai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