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106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job crafting, and teaching flow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서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208~22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교수몰입 및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지지와 조직건강이 잡 크래프팅을 매개로 교수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의 담임교사로 재직 중인 유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본 연구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과 교수몰입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교수활동에 몰입하여 유아교육의 질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조직 내에서는 사회적지지를 강화하고 조직건강을 증진시키며,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job crafting, and teaching flow,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health on teaching flow.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ing as teacher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job crafting, and teaching flow. Secondly, job crafting played partial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health, and teaching flow. The results of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ative effici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mmer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ach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plans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within the organization, improve organizational health, and activat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raf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