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이용수 181
- 영문명
- Experience of using digital devices at home shown in children's drawing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인애 오아름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1호, 230~251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에 대한 유아의 이미지와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약 두 달동안 대전시와 충청북도에 소재한 4개 유아교육기관의 5세 유아 89명을 대상으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에 대해 그림 그리기와 면담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가지 범주의 6개 하위 범주로 구분되었다. 첫째, 유아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에 대한 이미지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놀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학습’,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소통’, 둘째, 유아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은 ‘행복함과 즐거움을 주는 디지털 기기’, ‘부모의 규칙과 제재로 인해 부담감을 주는 디지털 기기’, ‘안전하지 않은 디지털 기기’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s and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 on the experience of using digital devices at home by analyzing their drawings. To this end, for about two months from December 2022 to January 2023, 89 5-year-old children from four diffe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buk-do were selected to conduct drawing sessions and interviewed for their experiences using digital devices at hom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ith six subcategories. Firstly, images on the experience of children using digital devices include ‘Play Using Digital Devices,’ ‘Learning Using Digital Devices,’ and ‘Communication Using Digital Devices’. Secondly, recognition for using digital devices for children was shown as ‘Digital Devices that Give Happiness and Pleasure’, ‘Digital Devices that Cause Burden due to Parental Rules and Restrictions’, and ‘Unsafe Digital De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남지역 실정을 고려한 작은 유치원 모형 탐색
- 예비유아교사 대상 관찰 기록용 디지털 툴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조직건강, 잡 크래프팅, 교수몰입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의 그림에서 나타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경험
- 조부의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 이웃의 지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 상호작용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에 구조적 관계 분석
-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질적 탐색
- 취약계층 가정의 COVID-19 팬데믹 시기 아동 교육 및 돌봄 공백 현황 분석
- 유아 교사의 쓰기교육과 평가 경험 연구
- 영유아교사의 자기자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