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이용수 107
- 영문명
- A study on caring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Q-methodological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임수진(Lim, SooJin) 이혜원(Lee, Hye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281~3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돌봄의 유형과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총 59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이후 유아교사 6명을 대상으로 2회의 Q분류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33개의 Q표본을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P표본은 유아교사 41명을 선정하여 돌봄에 대해 인식을 Q분류를 하도록 하였다.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돌봄에 대한 인식 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영유아 중심 보호 기반 실천형”으로 영유아를 신체적, 정서적으로 보호하고 지원하는 것을 돌봄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많은 유아교사들이 이 유형에 속하였다. 제2유형은 “전문성 기반 책임형”으로 돌봄을 교사의 책임감과 윤리의식을 가지고 실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3유형은 “관계기반 협력 중심형”으로 돌봄은 교사와 부모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와 서로 공감하는 관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제4유형은 “영유아 권리기반 지원형”으로 돌봄은 유아를 인격체로 존중하며,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분류한 돌봄 유형화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