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이용수 193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s experienced b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다래(Kim, Da R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58~89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 7명으로 2개월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조직문화의 표면적 특성으로는 ‘위계질서의 조직문화’, ‘협력적 조직문화’, ‘친밀한 관계적 조직문화’로 나타났다. 둘째,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교직문화의 내재적 특성으로는 ‘주체적인 조직문화’, ‘침묵의 조직문화’, ‘집단적 조직문화’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조직문화 해소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교사 개인적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식 변화하기’, ‘주체자로서의 자신의 목소리 내기’, ‘능동적인 분위기와 환경 조성하기’로 나타났다. 사회·정책적 측면으로는 ‘조직문화와 관련한 연수 활성화하기’, ‘교사공동체 형성하기’, ‘교사의 전문성 신장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립유치원 교사의 조직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보장받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s experienced b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at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a two-week in-depth interview session was conducted for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trinsic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s experienced b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cluded ‘hierarchical’, ‘collaborative’, and ‘intimate’ organizational cultures. Secondly,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eaching cultures organizational cultures. Thirdly, improvement measures for resolving neg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were ‘changing perceptions through critical thinking', ‘raising one's own voice as a main agent', and ‘creating an active atmosphere and environment’, ‘facilitating organizational culture-related training', ‘forming a teachers’ community', and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The study is likely to help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rganizational cultures and ensure a happy teaching care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