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이용수 137
- 영문명
- An analysis of overseas research trends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a frequency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22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연승(Lee, Yeon-Seung) 박건령(Park, Keon-Ry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28~57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에 관한 해외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해당 분야의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통찰을 제공함과 동시에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성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실시되었다. 해외논문 검색엔진 중 하나인 Springer의 데이터베이스에서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라는 핵심 키워드와 연관된 전체연도 논문 검색을 통해 101편의 논문을 1차 수집한 후, 장애유아통합교육이라는 연구주제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28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되었다. 본 연구분석에 활용된 전체 논문의 64.3%가 SSCI 저널에 게재되었다는 사실은 해당 분야를 다룬 연구의 양적 편수는 많지 않으나, 그 학문적 가치와 의미를 인정받은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해외 학술논문의 제목, 키워드, 초록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빈도분석과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고, 4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시기별 토픽 트렌드 변화를 살펴본 결과, 해당 토픽이 모두 출현한 시기는 4시기(2016년 – 2020년)로, 이는 2015년 UN 총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채택 이후 “모두를 위한 교육”이 강조되면서 장애유아통합교육 현장 속 주체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한 연구들의 출현 빈도도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체 4개의 토픽 중에서 2개의 토픽이 현장실천 속 한계점과 문헌연구 및 정책연구에서 드러난 장애유아통합교육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해외연구 동향분석을 통해 국내 장애유아통합교육의 방향성과 개선책에 대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sight connecting past and present of the study field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while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overseas research that began relatively earlier than the that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or data collection, 101 articles were first selected through title and keyword searches among studies uploaded on the Springer database, one of the well-known overseas research search engines. After that, the final 28 papers that strictly met all the screening criteria for the study were selected. Although the number of articles used in this research is limited, the fact that 64.3% of all papers were published in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SSCI) journals indicated that research recognized for the academic significance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in the study field.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potential meanings from the texts extracted from titles, keywords, and abstracts of academic articles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pic modeling techniques. As a result, four topics were extracted and all appeared during the fourth period (2016–2020), which was after the adop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by the UN General Assembly in 2015. As “Education for All” is emphasized, it is thought that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studies reflecting various voices of educational subjects in the field has increased. However, the fact that two of the four topics deal with the limitations in the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as well as the problems of those revealed in literature and policy studies holds a significant meaning.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및 절차
III. 연구 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