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이용수 101
- 영문명
-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Korean schools in Washington, DC area, US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성영실(Sung, Young-Sil)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207~23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미국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 3명이며, 각 교사 당 3회씩 줌을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전화와 이메일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면담내용은 녹화한 후 전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 교재 부족과 수업자료 제작의 어려움, 한국어와 영어 사이에서 느끼는 소통의 어려움, 부모의 관심과 도움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요구는 교사교육의 기회 확대, 교사 지원의 확대, 교사의 정서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를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ng and suppor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t overseas Korean schools by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Korean schools in USA. The participants were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Korean schools in Washington, DC area, USA.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teacher 3 times using Zoom and collected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phone calls and e-mail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Korean schools in Washington, DC area were found to b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lack of textbooks and difficulties in producing class material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English, and lack of interest and support from parents. Second, the dema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n schools in Washington, DC area, USA were found to be expansion of teacher education opportunities, expansion of teacher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of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desirable teacher education and support that reflects the specific difficulties and need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verseas Korea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