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이용수 73
- 영문명
- Perception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채영문(Chae, Young Moon) 오아름()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93~20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와 부모가 느끼는 유아의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7차(2014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유아와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 부모가 느끼는 유아 행복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주관적 행복감과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주관적 행복감과 부모가 생각하는 유아의 행복감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행복감과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행복감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행복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의 필요성과 행복의 측정 및 신뢰할 만한 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ildren’s happiness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this e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ren and parents were calculated using the seventh survey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4)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as analyzed.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n children’s happiness recognized by children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ren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parents were not correlated.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ren and perception of the parents on the children’s happiness were not related, bu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parents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perceived by the parents. These result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more in-depth research on happiness of children and the need to measure and develop reliable tools for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