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이용수 175
- 영문명
- The linguistic turn and its philosohpical understanding about ‘learning’ and ‘pedagogy’ in 2019 British Columbia early learning framework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연선(Youns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5~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은 시기에 개정된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후기질적연구 내의 문헌분석을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어린이의 배움과 교사의 교육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2019 BC ELF의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를 살펴보고, 둘째, 어린이의 ‘배움’과 교사의 ‘페다고지’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2019 BC ELF는 유아교육을 오랫동안 지배해 온 실증주의와 인본주의, 그리고 발달주의에 근간을 둔 어린이와 배움에 대한 이해를 넘어 사상적 전환과 실천을 교육과정을 통해 구현시켰다. 우선, 관계적 존재론, 포스트 휴머니즘과 신물질 주의를 근간으로 배움을 리좀으로, 학습영역을 살아있는 탐구로, 목표를 경로로 개념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유아교사의 교육 실천을 경청의 페다고지, 비판적 성찰, 협력적 대화와 교육적 나레이션으로 명명하고, 교수-학습을 물질, 교사, 어린이와의 공동의 살아있는 탐구로 보았다. 언어와 그것이 담고 있는 개념은 생산적인 힘을 가진 살아있는 물질이다. 새로운 용어와 개념은 어린이의 배움과 교사의 페다고지를 새로운 방식으로 볼 수 있도록 이끈다. 2019 BC ELF의 용기있는 도전으로 유아교육은 새로운 실험의 길을 걷게 되었다. 실험은 새로운 교육실천의 가능성을 만들어 낼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new understanding of children’s learning and teachers’ pedagogies in the 2019 British Columbia Early Learning Frame(2019 BC ELF) revised in 2019 as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Literature review within Post-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Firstly, the linguistic turn and their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2019 BC ELF were investigated. Secondly,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leaning’ and teachers’ ‘pedagogies’ were reviewed. 2019 BC ELF has made a philosophical and linguistic turn from positivism, humanism and developmentalism dominated in the mainstream discour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iority, rooted in relational ontology, posthumanism and new materialism, it attempted conceptual change from learning as rhizome, learning area as living inquiries, and goal as pathways. In addition, it promote d the key pedagogical practic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edagogy of listening’, ‘critical reflection’, ‘collaborative dialogue’, and ‘pedagogical narration.’ It regarded teaching and learning as collective and living inquiry among material, teacher and children. Language and its concept are living materials with productive power. New language and concept lead to look at children’s learning and teachers’ pedagogies in a new way. Through the fearless challenge of 2019 BC EL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lead a new pathway for experimentation. The experimentation will create possibilities of new educational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후기질적연구와 문헌분석
Ⅲ. 2019 BC ELF의 언어적 전환과 그 철학적 전제
Ⅳ. 2019 BC ELF에서 바라보는 어린이의 ‘배움’과 교사의 ‘페다고지’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