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이용수 94
- 영문명
- Investigation of parents' complaint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명주(Cho, Myoung-ju) 장정윤(Chang, Jung-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48~175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 교사 203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 및 안전’ 영역에서는 건강관리, 전염병, 안전관리 항목이 급·간식 질과 양, 미세먼지, 위생관리 항목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직원’ 영역에서는 또래관계 지도, 원장, 교사-부모 의사소통 항목의 평균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차별대우, 교사태도 항목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영관리’ 영역에서는 방과 후 과정, 운영 시간·일자 항목의 평균이 교재·교구나 교육비·추가비용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넷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육계획 및 실행 항목이 장애통합 항목보다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구결과에서 각 항목들 간의 평균 차이가 크게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 교사들이 주로 경험하는 학부모 불만 내용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만 3-5세 유아 학급 교사들이 당면하고 있는 학부모 불만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experience of receiving parent‘s complaint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ged 3-5 yea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3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a 3-5 year old clas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Health and Safety’ area, health management, infectious disease, and safety management items showed higher averages tha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eals and snacks, fine dust, and hygiene management items. Second, in the area of 'teacher and staff', the average of peer relationship guidance, director, and teacher-parent communication item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discriminatory treatment, and teacher attitude items. Thir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area, the average of after-school courses and operating hours and dat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educational expenses, and additional expenses. Fourth, in the 'curriculum' area, the average of education plan and execution item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disability integration items. Although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each item was not notice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main complaints of parent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how in detail the contents of parental complaints that teachers of preschool children aged 3-5 are currently fac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