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77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lay belie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인애(Kim, In-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12~147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의 개발은 기초연구, 검사도구의 개발, 검사도구의 타당화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기초연구는 놀이신념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기존의 검사도구를 분석하였다. 기초연구와 델파이조사를 토대로 놀이신념 검사도구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놀이신념 검사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세 차례에 걸쳐 델파이 전문가에 의해 내용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유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예비연구를 거쳐 최종 시안이 확정되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검사도구 최종 시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여 문항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는 3개의 구성요소와 6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다. 놀이주체자인 유아에 대한 관점은 ‘유아는 스스로 배우는 유능한 존재(5)’와 ‘유아는 보호받고 가르침 받아야 할 존재(5)’ 2개의 하위요소, 놀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관점은 ‘놀이 그 자체가 배움(6)’과 ‘놀이는 학습의 수단(6)’ 2개의 하위요소, 놀이운영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은 ‘교사는 놀이 지원․지지자(7)’, ‘교사는 계획․감독자(7)’ 2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놀이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에 대한 더 넓은 관점을 살펴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놀이신념과 관련 연구들을 보다 활발하게 증진시키고 학문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a self-assessment rating scale for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arried out and divided into foundational research,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rating scale, and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rating scale. Firstly, factors were deduced through foundational research. Then, a primary Delphi survey was performed. Primary items were created reflecting the results from the primary Delphi survey. Then, secondary and tertiary Delphi surveys were performed. The final draft of play belief self-assessment ra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rmula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research was performed on two hundred and fifty early childhood teacher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item qu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ating scale were examined. The self-assessment rat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and six sub-factors. The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 who are the players, are captures through two sub-factors, ‘young children are capable beings that can learn by themselves (5)’ and ‘young children need protection and teaching (5).’ The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are captured by two sub-factors, ‘play itself provides learning (6)’ and ‘play is a tool (or a mean) for learning (6).’ The perspectives on the role of a teacher in a play environment is captured by two sub-factors, ‘teachers are the supporters and advocators in young children’s play (7)’ and ‘teachers are the planners and directors (7).’ In total, the sub-factors are composed of 36 it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