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phor analysis of digital play on parent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오아름(Oh ah-reum) 김인애(Kim, In-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4호, 176~192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하여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디지털 놀이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2년 10월 1주부터 11월 4주까지 약 두 달에 거쳐 D시와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98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한 결과, 가치적 측면, 사회적 측면, 정서적 측면의 총 3개 측면으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가치적 측면은 활용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양면성, 기능적 측면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데 생활에 필수적인 매체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측면은 매력적이고 즐거우며 자유로운 놀이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aphor of digital play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to find out the meaning of digital play recognized by parents. To this end, a metaphor analysis of digital play was conducted on 96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residing in D city and C province for about two months from October 1st to November 4th, 202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taphor for digital play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it was categorized into a total of three aspects: valuable, social, and emotional. The ambivalent and functional aspect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were found to be essential media for living in this era, and the semantic aspects were found to be attractive, enjoyable, and free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9 개정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의 ‘배움’과 ‘페다고지’에 대한 언어적 전환과 철학적 전제
- 어머니가 인식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조사
- 사립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유치원 조직문화 탐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민주시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유아와 부모의 인식
-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 빈도분석 및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해외연구 동향분석 : 2001~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돌봄 인식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