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7
- 영문명
- Effect of Ceramic Sculpture Activities on the Improving Self-efficac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현구(Hyungu JEONG) 신나경(Na-kyung SHIN)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271~29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자조형 활동이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H고등학교 통합교육반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으로 도자조형 활동에 참여를 희망하는 10명을 대상으로 학부모와 학생의 참가 동의서를 받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5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주 1회 50분씩총 10회기의 도자조형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고,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 및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자조형 활동의 회기별 소감문을 바탕으로 참여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내용 분석과 병행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도자조형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전공교과 교육과정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자기효능 감이 유의미한 정도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도자조형 활동은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낮은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한 도자조형 활동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학교생활 중 원만한 또래 관계 형성 및 긍정적 사회 적응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들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eramic sculpting activities on improving self-efficac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enrolled in the integrated education class of H high school located in B city, who wish to participate in ceramic art activities, received the consent of parents and students to participate. Five people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a total of 10 ceramic-making activities for 50 minutes once a week.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udy, pre-post-tests of self-efficacy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impressions of each session of the ceramic art activity were combined with the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ottery model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eramic sculpting activities can be an effective activity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I. 서론
Ⅱ.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도자조형 활동의 이론적 고찰
Ⅲ.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도자조형 활동
Ⅳ. 도자조형 활동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