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365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istic Value Judgement Program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Focusing on High School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안서정(Seojeong AHN) 심영옥(Youngok SIM)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141~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디지털·AI 교육 강화에 대비하여 인공지능 미술을 이해하고 인공지능 미술에 대한 예술적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지도하기 위한 것이다. 인공지능 미술은 입력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기존에 존재 하지 않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최근 인공지능 창작물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첫째, 인공지능 미술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둘째, 미술교과에서 인공지능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미술작품의 가치 판단 능력이 향상되었다. 아직도 많은 연구를 요하는 인공지능 미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 융합 선택 과목 프로그램 연계 및 확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표현 프로그램 연계, 인공지능 미술의 윤리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은 학습자가 미래 사회를 향유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덕목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ide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nd judge the artistic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n preparation for strengthening digital and AI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Artificial intelligence art creates a new image that does not exist by learning input data. Recently, various opinions on the artistic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raised due to the win the p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This study considered the necess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education and devised a program.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program was first to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nd secondly, the possibility of AIED was confirmed in art subjects. Third, the ability to judge the value of art was cultivated. In order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art education, which still requires a lot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link and expand programs for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link expression progra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develop ethical value judgment programs. Above all, judging the artistic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s a necessary virtue for learners to enjoy a future society.
목차
I. 서론
Ⅱ. 인공지능 미술의 이해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Ⅲ.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Ⅳ. 프로그램 적용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