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이용수 99
- 영문명
- Developing Art Education Program using Soundscape: Based on 'Symétrique' and 'Translation' in Bruno Latour's Symmetrical Anthropolog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효(Jeonghyo KIM) 강주희(Joohee KANG)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75~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브루노 라투르의 대칭적 인류학의 핵심 개념인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미술교육에서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과 주요 작품들을 바탕으로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 였다. 사운드스케이프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기술 융합을 통해 소리를 채집하고 분석하여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감각적·미적 체험을 제공한다.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소리 탐색을 통한 환경과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소리의 시각화와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행위자로 환경의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감정 이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 생태적 감수성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of an ecological approach to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the essential concepts of 'symétrique' and 'translation' in Bruno Latour's symmetrical anthropology and develops soundscape program as a way to practice them in art education. To this end, the concept of soundscape is decribed and the works of soundscape are analyzed. Soundscape, based on ecological worldview, provides synesthetic and aesthetic experienc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ounds through technology convergence to enable new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The art education program using soundscape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act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to empathize with the environment as an actor through the process of visualizing and reconstructing sound as well as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sound explor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ctors to react sensitively to and empathize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 helping to form ecological sensitivity.
목차
I. 서론
Ⅱ. Bruno Latour의 대칭적 인류학
Ⅲ. 사운드스케이프 작품에서 ‘번역’의 의미 찾기
Ⅳ.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안)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