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6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엄혜윤(Hyeyoon EOM)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165~1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배움을 갈망하면서 자발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한 성인 참여자 20명 삶의 예술화 과정을 탐구하 고자 하였다. 수원시립미술관에서는 미술관 교육을 통해 단순 체험이 아닌 경험을 통한 개인 내면의 의미를 형성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교육과정을 구성했다. 또한 정기 교육 일정과 함께 온라인 소모임, 교육 키트 제공을 통해 63일의 모든 순간을 교육 참여자와 함께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해 의미 만들기라는 과정에 주목하 였고, 개개인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기보다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참여 관찰을 통해 의미화 과정을 발견하고자 한다. 교육사례의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술관 교육 방향성을 재정립하고 미래의 미술관 교육과정을 준비하기 위한 과제이며 이러한 모든 과정은 의미 만들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사례 분석
Ⅳ. 의미형성 과정과 도출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