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이용수 147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ction-Based Contemporary Art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An Action Research Stud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진(Sujin KIM)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43~7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시문 기반 예술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진행한 연구(김수진, 2022)의 후속 연구로서, 초등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실행 연구이다. 초등 예비 교사들은 미술만을 전공으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대/동시대 미술에 대해 생소하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초등 교육과정에서 현대/동시대 미술에 대해 다루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며 따라서 구체적인 교수법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미술교육 관련 필수 교과목을 수강하는 초등 예비 교사인 대학교 3학년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현대/동시대 미술 작업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시문을 생성하고 수행하는 흐름의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성찰지를 수집하여 주제를 중심으로 질적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 교사들은 미술 수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고, 지시문 생성과 수행을 통해 현대/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으며, 현대/동시대 미술 교수법에 대한 역량 강화를 추구했다. 실행 연구의 순환적 과정에 기초하여 연구자 또한 프로그램의 결과를 성찰하고 재계획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s a follow-up study of a study (Kim, 2022) that conduct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instruction-based ar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y feel unfamiliar with contemporary art because they do not specialize only in art education. However,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art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s moving from whether it is necessary to what the specific teaching methods are. Thus, in this study, I conducted an action research study with 2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lored contemporary artworks, created instructions, and carried them out. I collected reflection portfolios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m utilizing a theme-based approach.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formed new perspectives on art lesson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by doing, and strengthened their competencies in art pedagogy. The researcher also reflected on the process.
목차
I. 서론
Ⅱ.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Ⅲ.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Ⅳ.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미술 교육적 의의
V. 결론 및 실행 연구의 재계획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