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58
- 영문명
- Development of Cultural Understanding Progra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Ceramic Art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복(Jinbok LEE)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187~21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통문화는 민족의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자문화이해 실기 중점 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도자문화에 내재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요소를 UN에서 제시한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관점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더하여 선행 연구와 미술 교과서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사회적 요소에서는 ‘문화 다양성’, ‘세계화’, ‘정체성’, ‘시대성’, 지역성‘, 역사성’을, 환경적 요소에서는 ‘생활환경’, ‘자연환경’, ‘재료 환경’을, 경제적 요소에서는 ‘창의성’, ‘고유성’, ‘지속성’, ‘부가가치’, ‘문화교류’를 전통도자문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 내용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현행 초·중등 미술 교과서에 공통으로 게재된 전통도자 13개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통도자 문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 내용에 기초하여 분류한 다음, 이에 기반한 학교급별 실기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하 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학교 미술교육의 도자문화 교육에 활용하여 전통도자문화의 지속발전가능에 기여할 수 있음에 의미를 둔다.
영문 초록
Traditional culture plays an essential role in establishing national identity. This study develops and proposes a practical skill-focused school art education program of the ceramic culture understanding to establish identity. For this, the elem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raditional ceramic culture are classified into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pects as proposed by the United Nations. In addition, through literature and textbook analyses and interviews with specialists, core cont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of traditional ceramic culture are derived for each aspect, including `cultural diversity', `globalization', `identity', `periodic characteristics', `locality', and `history' for the social aspect, 'living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materialistic environment' for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creativity', 'uniqueness', 'sustainability', 'value-added' and 'cultural exchange' for the economic factors. In addition, a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r each school level is proposed after classifying 13 traditional ceramics commonly published in the curren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t textbooks into the derived core contents. The result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eramic culture by utilizing the school art education of ceramic cultur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과정
Ⅳ. 지속가능발전교육 요소에 기반한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 Data-Driven Study on Spatial Network of Learn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Centrality and Educational Disparity
-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디자인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디자인을 중심으로
- AI 기반 감성적 사운드 디자인 연구 - 감성 데이터와 AI 학습 모델의 융합 가능성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